민족 대명절 추석 지방쓰는법과 차례상 음식 꿀팁

민족 대명절 추석 지방쓰는법과 차례상 음식 꿀팁

그렇지 못하신 분들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명절때마다. 이른 아침 다들 검색 한번쯤은 해 보고 차례상을 차리셨던 기억이 있으실텐데요. 추석 명절 차례상 음식순서 차리는 방법, 위치, 방향추석, 설날 차례상 차리는 법이라고 하여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 좌포우혜, 동두서미 같은 용어들이 많이 오르내리는데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입니다.


imgCaption0
차례상 준비 시 주의할 점

차례상 준비 시 주의할 점

차례상과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꽁치, 삼치, 갈치 등 치가 들어가는 생선과 잉어나 붕어처럼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복숭아는 귀신을 쫓아낸다고 하여 올리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마늘이나 후추, 고춧가루 등의 향신료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으로 짜지 않게 조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제사에 대한 개념도 많이 변해서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올리기도 합니다.

추석 차례 순서

1. 강신조상님을 맞이합니다. 제주장자 아니면 장손가 향을 피웁니다. 집사차례를 돕는 사람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을 합니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을 모십니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합니다. 2. 참신 기제사와 같습니다. 일동이 모두 두번 절을 합니다. 3. 헌주 술을 제주가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4. 삽시정저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합니다. 5. 시립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습니다. 6. 사신: 수저를 거둡니다. 뚜껑이 있으면 덮습니다. 일동이 2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십니다.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설날 차례상 음식 종류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주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는다. 예전에는 밥 외에도 국수를 올렸으나 오늘날에는 생략해도 무방하겠습니다. 제사 국입니다. 신위의 수대로 대접 아니면 주발을 담고 뚜껑을 덮는다. 재료는 쇠고기와 무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인다.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을 쓰지 않습니다.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을 쓸 때는 껍질을 벗겨 내어 가급적이면 흰 빛깔이 되게 합니다.

다소 백설기나 시루떡을 해서 사각의 접시에 보기쫗게 놓고, 신위의 수에 연관 없이 한 그릇만 올리기도 합니다. 탕은 오늘날의 찌개라고 할 수 있어요. 쇠고기, 생선, 닭고기 중 한가지만을 택하여 조리합니다. 양념에 파, 마늘, 고추등을 쓰지 않습니다.

추석 간소화 차례상 차리는 방법

요즘에는 보편적인 차례상을 차리기 위해 드는 광대한 비용과 시간, 갈등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간소화 차례상이라는 형식이 새롭게 나타나는 추세입니다. 다음으로, 추석 간소화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관해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는 성균관의회정립위원회에서 추진하는 추석 간소화 차례상을 나타낸 이미지입니다. 1열에는 수저와 술잔, 송편 등이 올라가며, 설날에는 송편 대신 떡국을 올리시면 됩니다. 2열에는 나물과 전, 산적, 김치 등이 올라가게 되며, 많이 둘 필요 없이 정갈하게만 올리시면 됩니다.

3열에는 밤이나 과일 종류가 올라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설 차례상 차림그림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5열로 차린다. 차례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봅니다. 제주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병풍에서 가까운 쪽을 1열로, 멀어질수록 차례대로 2열, 3열 등으로 구분됩니다. 1열은 반서갱동 시접거중으로 술잔, 밥, 시접, 국, 떡국을 놓는다. 시접수저 그릇과 술잔을 놓고 밥을 올립니다.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시접은 가운데에 두고, 밥과 술잔은 왼쪽(서쪽), 오른쪽(동쪽)에는 떡국을 놓는다. 이럴때 국수와 편은 집안 전통과 상태에 따라 생략할 수 있어요. 2열은 어동육서 동두서미로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을 놓는다.

한눈에 보는 차례상 가이드

그렇다면 차례상은 어떠한 식으로 차리는 것이 좋을까요? 아래에서, 한눈에 보는 차례상 가이드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차례상은 위와 같이 총 5열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지금부터 각 열별로 놓는 음식의 종류와 규칙에 관해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1열 1열에는 주로 밥과 국, 신위지방, 수저 등이 올라가게 되는데요, 반서갱동에 따라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두시면 됩니다. 제2열 2열에는 각종 전종류가 올라가게 되는데요, 어동육서에 따라 어전은 동쪽, 육전은 서쪽에 두시고, 가운데는 소적두부 전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두동미서에 따라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하시면 됩니다. 제3열 3열에는 탕 종류가 올라가며, 어동육서에 따라, 어탕은 동쪽, 육탕은 서쪽에 두시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차례상 준비 시 주의할 점

차례상과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석 차례 순서

1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설날 차례상 음식 종류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주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는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