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간소화 방안, 추석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 간소화 방안, 추석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지난 추석 때처럼 설을 앞두고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제시했는데요. 이유는 불필요하게 많이 차려지는 음식이 오히려 가족 간에 불화와 스트레스의 요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 시간에는 성균관의 차례상 간소화 방안에 대해 살펴봅니다. 추석이나 설날의 차례상은 간결하게 차리는 것이 오히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 잘 맞는다고 할 수 있는데요. 홍동백서나 조율이시와 같은 제사상의 규칙은 우리나라의 그 어떤 전통예서에도 나와있지 않다고 합니다.

퇴계이황의 종갓집 차례상을 보시면 굉장히 소박하여 밥과, 술, 명태포, 과일도 배와 사과등을 각각 하나씩 한 접시에 담은 것이 전부인데요. 이는 퇴계선생의 유언에 따른 것입니다. 그리고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명재 유증선생은 차례상에 기름 쓰고 번거로운 유밀과와 전은 올리지 말라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imgCaption0
과거 차례상

과거 차례상

차례상이나 제사상 하면 떠상승하는 것이 홍동백서와 조율이시인데요. 동서남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 제주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있는 남쪽, 제주의 우측이 동쪽, 왼쪽이 서쪽 방향이 되겠습니다.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조율이시 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의 순서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 좌포우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반서갱동 밥은 서쪽, 국은 동쪽 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열에 따른 배치 차례상을 차리는 법은 지역과 가문에 따라 달라 어느 방법이 옳다고 단정 짓기는 어려운데요. 하지만 보편적인 상차림은 5 열이며, 설에는 밥대신 떡국을 올리게 됩니다.

남자 조상 지방 쓰는 방법

그렇다면 이러한 지방은 어떠한 방안으로 쓰는 것일까요? 이는 남성과 여성 조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제부터 남성 조상 지방 쓰는 방법에 대해 제대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처음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로, 본인과 고인조상과의 관계입니다. 아버지의 경우, 현고라고 하며, 할아버지의 경우, 현조고, 증조할아버지의 경우 현증조고, 고조할아버지의 경우 현고조고라고 작성합니다.

두 번째로 작성하는 것이 바로 남자 조상의 벼슬직위입니다. 남자 조상의 벼슬이 없습니다.면 모두 학생(學生)으로 통일하여 작성하게 되고, 벼슬이나 직위가 있으면 그 직위에 맞게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세 번째로 작성하는 것은 바로, 남자 조상의 이름입니다. 이는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부군(府君)으로 통일하여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설날 간소화 차례상 원칙

그렇다면, 간소화 차례상을 차릴 때 어떤 원칙을 적용하면 될까요? 이제부터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조율이시, 홍동백서 근거 없음 유서 깊은 차례상에는, 조율이시나 홍동백서와 같은 어려운 원칙이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원칙은 근거 없이 만들어졌다는 발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밥 대신 떡국, 송편 차례는 설날과 명절에 지내는 의례인데요, 설날이라면 밥 대신 떡국을, 추석이라면 밥 대신 송편을 올리시면 됩니다.

신위, 위패는 지방, 사진으로 대체 신위, 위패가 없는 집안이라면, 단순하게 지방에 글씨를 써 이를 대체하거나, 고인조상의 사진으로 대체하시면 됩니다.

설날 차례상 관련 오해

예로부터 차례는 추석, 설날과 같은 명절 아침에 온 가족이 모여 조상께 인사를 드리는 의식이었습니다. 차례상을 준비하기 위해, 설날 전부터 많은 양의 장을 보고, 준비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 가짓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조상에 대한 효를 잘 드러낸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이렇게 차례상을 차리는 데 있어서, 경제적인 비용뿐 아니라, 부엌에서 일하는 여자들의 고통과 스트레스가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남녀, 집안 갈등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른바 명절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신드롬이 생겨난 것도 차례상과 연관된 이유가 컸습니다. 하지만 요즘 밝혀진 사실로는,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 가짓수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므로, 굳이 많은 음식을 장만하여 차릴 필요가 없습니다.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성균관 차례상 간소화

성균관은 시대에 맞는 유교를 강조하며 차례상 간소화를 선보였는데요. 추석과 설날의 다른 점은 송편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으로 나머지 부분은 모두 동일합니다. 설추석 차례상 간소화 진설도 성균관에서는 홍동백서나 조율이시 같은 예법은 전통예서등의 문헌에 없는 표현이라고 선을 그었는데요. 가족과 상의해 즐겨찾는 것을 상에 얼마든지 올릴 수 있습니다. 1열 시접숟가락, 젓가락, 술잔, 떡국밥, 국, 송편 2열 나물, 구이, 김치 3열 과일 4가지 밤, 사과, 배, 감등 차례상은 단순하게 차리는 것이 맞습니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꼭 올리지 않아도 됩니다. 과일 종류도 편하게 고르면 됩니다. 지방대신 사진을 놓고 차례를 지내도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과거 차례상

차례상이나 제사상 하면 떠상승하는 것이 홍동백서와 조율이시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남자 조상 지방 쓰는 방법

그렇다면 이러한 지방은 어떠한 방안으로 쓰는 것일까요? 이는 남성과 여성 조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날 간소화 차례상 원칙

그렇다면 간소화 차례상을 차릴 때 어떤 원칙을 적용하면 될까요? 이제부터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Leave a Comment